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어도비 통계 적재
    커리어/2021.08 ~ 2023.05 2022. 6. 1. 16:35

    1. 배운점 요약

    스프링의 tiles 라는 template 구조를 이해함.

     

    2. 요청사항 개요

    기존 화면들 jsp 소스들에 개별로 존재하고 있던
    어도비 통계 적재 관련 로직을 layout 관련한 jsp소스로 옮겨와 공통적용되도록는 방향으로 변경해달라는 요청.

     

    3. 개발 사항

    화면경로  마이페이지웹GW  > 모든 uri 
    1.  소스 tiles 의 구성에 따라 모든 layout-tiles에 공통 적용되고 있는 jsp 소스는 scriptcommon.jsp 소스인것 으로 확인됨.-> scriptcommon.jsp로 옮겨와 공통적용시켜주기로 결정.

    1. scripcommon.jsp 소스에 각 화면들 jsp에 개별로 존재하고 있던 어도비 통계적재 관련 로직 추가 해줌.
    2. 각 화면 jsp들에선 해당 로직 삭제해줌.  
    2. DB  적재할 어도비 문자열 수정 요청.
    예) kt^마이올레^가족결합신청 -> kt^마이gw^가족결합신청

    어도비 문자열의 경우 
    gw_uri_info테이블  (마이페이지웹gw의 uri 관리테이블) 의
    adobe_statics 컬럼에서 값을 불러옴. 
    해당 컬럼값들을 업데이트 시켜줌. 

    예) UPDATE gw_uri_info SET adobe_statics='kt^마이gw^가족결합신청' WHERE uri= '/famil.../...do' ;
    테스트 크롬 개발자 도구를 통해 s.pageName에 해당 db에서 불러온 어도비 문자열 값이 잘 담기고 있는지 확인.

    특이했던 점: 
    보통의 경우 개발을 완료하면 개발환경에서 테스트를 거치고 , 디버그(실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 하지만 해당과제의 경우, 어도비 통계가 적재되고 있는 지의 여부는 adobe (실환경)에서 테스트가 가능한 부분이기에 배포가 이뤄지고 난 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개발 테스트시에는 크롬 개발자도구를 통해 adobe에서 가져갈 s.pageName에 우리 db의 adobe_statics 컬럼값을 잘 불러와 담아주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까지 진행하였다.

     

    4. 회고

    어려웠던 점:
    어도비통계라는 내용이 생소하였다. 타사(adobe analytics)에서 제공하는 툴을 가져다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련 정책을 따르는 것일 뿐, 세부 코드 내용은 확인할수 없다는 점 등이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졌다.  테스트시에도 어도비통계가 실제로 문제없이 적재되고 있는지의 여부는 실환경(운영)에서 테스트가 가능한 부분이기에 배포가 이루어지고 난 후 확인가능하였다.

     

    * 위에 기재된 테이블명이나 컬럼명 등은 보안사항일 수 가 있어, 실제와 다른 명칭을 적어줌.

    * 빨간색글자는 중요표시.

Designed by Tistory.